Seoul, South Korea

5.23 - 6.1.2014

Documentation | Review

 

 

'Crossing Borders: Seoul Edition presents the works of thirteen emerging artists from seven countries. The works explore and transcend the limitations of medium, concept, variety of social, political, and personal issues.  Alongside eight international artists, the exhibition features the works of five rising Korean artists who reinvent artistic practices and employ new representational strategies to find and address themes of identity and community, form and function, the indigenous and the exotic.
The Crossing Borders Exhibition Series provides an international platform for young artists to exhibit their artworks. By bringing together a cross geographical selection of artists, the exhibition aims to engage the audience with a broad range of cultural contexts.  The diversity of the individual works in this exhibit embodies Emergent Art Space’s goal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oday’s promising young artists.'

 

'Crossing Borders 서울 에디션은 7개 나라 –한국, 미국, 스웨덴, 프랑스, 스페인, 중국, 멕시코-에서 선정된 13명의 젊은 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 선보인다. 여덟 명의 해외작가와 다섯 명의 한국작가들이 모인 이번 전시는, 기존의 예술에 대해 일탈을 시도하고 획기적인 변화를 추구한다. 즉, 물리적 경계를 초월하여 사회, 정치, 개인이라는 주제를 다양하게 넘나들며 독특한 재료와 기법을 사용하여 예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것이다.
Crossing Borders 시리즈는 신진작가들에게 국제적 전시에 참여할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관객들에게 국경과 문화를 초월한 자유로운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번 전시에서 강조되는 다양성은 젊은 작가들의 독창적인 작품활동에 일조하고자하는 Emergent Art Space의 목표를 구현하고 있다.'

 

 

GONG indie art hall

양평1가 218번지 2층, Seoul, Korea 150-863

gongcraft

  / / Featured Artists / /

  

VS force (South Korea)

서찬석 Seo Chanseok (South Korea)

Ramon Blanco Barrera (Spain)

Rachel Marks (France)

박민우 Park Minu (South Korea)

문경의 Moon Kyung Eui (South Korea)

巧仔 Li Xiaoqiao (China)

이준아 Lee Juna (South Korea)

Lindsey Allgood (USA)

Heidi Cramer (USA)

Alejandro Morales (Mexico)

Ann Le (USA)

Amanda Karlsson (Sweden)

 

 

Artist info

Amanda Karlsson (Sweden)

Amanda Karlsson’s paintings and drawings are a melancholic reflections on memory and moments.  Her realistic-surreal style presents select visual material, while leaving leaving empty spaces “where you can rest,”  allowing the audience’s imagination and memory to fill it in. Her work is a deconstruction and rebuilding of moments, delicately presented with an intentionality, subtle emotion and curiosity.

아만다 칼슨의 작품들은 우리의 기억속에 내제된 감정의 투영물이라고 할 수 있다. 작가는 초현실적 묘사를 채택하여 작품을 “우리의 마음이 쉴 수 있는 공간”으로 규정하고, 그 안에 개개인의 상상력과 추억의 집합을 시도한다. 즉, 작가는 미묘하고 섬세한 감정들을 매개로 관객들로 하여금 기억에 대한 의도적 해체과 복구를 유도한다.

 

Ann Le (USA)

Ann Le’s work investigates dispacement, identity, and migration. Her wallpaper portrait series, Embody, narrates her family’s long journey and traumatic migration from Vietnam to the U.S. after the war.  She fuses family photographs and symbolic imagery, merging identities of East and West.  She calls upon collective memories and archives of family photographs to reconstruct unique projections that use quiet gestures to cannibalize identity and digest collective content.

작가는 전쟁이 개인과 집단에게 야기하는 정체성의 혼란에 대해 연구한다. 그녀의 자화상시리즈인 는 베트남전 중 작가 가족이 직접 겪어야 했던 충격적인 이민의 경험을 집중조명한다. 가족들의 사진과 상징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작가가 경험했던 동서양의 각기 다른 정체성을 진찰하고, 전쟁에 대한 정치문화적 견해들을 긴밀하게 연관시킨다. 특히, 집단적 기억에 내재된 관념적 요소들을 사용하여 보는 이에게 정체성의 상실에 관한 독특한 견해를 확립시킨다.

 

Alejandro Morales (Mexico)

Alejandro Morales’ was born and raised in the border town Ciudad Juarez, Mexico, a city torn apart by the drug cartels wars. His artwork addresses issues of narcoviol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gal and paralegal power in this region.  Through etchings and a manual process of erasure, Morales appropriates and reworks images collected from the local newspaper Post Meridiem. His work emphasizes how the aesthetic experience of media and its products shape the language and identity of a society that is surrounded and penetrated by violence.

작가는 멕시코의 가장 잔혹한 도시 중 하나로 꼽히는 시우다드 후아레스의 언두리 지역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에칭기법과 수작업을 기반으로하여 Post Meridiem이라는 신문에서 수집한 이미지들을 재구성하고, 이 지역에 만연해 있는 마약의 폭력성과, 법과 무질서간의 관계에 주목한다. 결국, 작가는 미학적 측면에서 바라본 미디어가 어떻게 폭력으로 점철된 사회의 언어와 정체성을 대변하는지에 대해 역설한다.

 

Heidi Cramer (USA)

Heidi Cramer’s sculptural work uses recycled materials to represent the process of change, and transforms how the material is received by the audience.  By rendering a boat in lace, Cramer juxtaposes their respective associations, creating a dialogue between the masculine and the feminine. Through manipulating material and form, Adrift evokes a feeling of movement and space. The piece invites the audience to contemplate the light as it moves through the designs, casting patterned shadows across the floor, haunting the space with feelings of romance, distance, longing and memory.

하이디 크레이머는 재활용품을 이용하여 물질의 용도변화를 꾀하고, 이에따라 발생하는 관객들의 인식 변화에 주목한다.는 레이스천으로 보트를 만듦으로써 재료와 형태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불러 일으키고, 원래의 보트라는 개념에 관련된 각각의 요소들의 관계를 재정립한다. 또한, 작가는 남성성으로 상징되는 보트와 여성성을 대표하는 레이스라는 상반된 개념을 결합하여 관객들에게 새로운 주제의식을 환기시킨다. 작가는 소재의 변화와 형태의 조작, 그리고 대립적 개념들의 나열을 통해 소재와 빛이 형성하는 공간 이외에 다양한 감정들을 유발한다.

 

Lindsey Allgood (USA)

Lindsey Allgood is a multi-disciplinary performance artist who explores the physical and metaphorical boundaries between bodies. Her work Spinning explores how two bodies bind together and pull apart, as they are wind together in red yarn that maps and constrains their movement.  The piece presents a physical conversation of two bodies responding to each other’s movements and entanglements, evoking broad considerations on intimacy, tension, union, constraint, and connection.

린지 얼굿은 신체의 물리적 경계와 은유적 언어와의 관계를 탐구하는 멀티 퍼포먼스 작가이다. 은 두 명의 몸에 빨간 실을 감으면서 일어나는 일련의 신체적 움직임과 접촉의 과정을 담은 영상이다. 한쪽이 움직이면 그와 실로 연결된 상대의 몸 또한 움직이게 됨으로써 서로 만나고 부딪히는 행위를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친밀감, 결합, 긴장감, 절제 등의 다양한 은유적 개념을 물리적 소통을 통해 설명하는 것이다.

 

이준아 Lee Juna (South Korea)

Juna Lee is an artist who explores the space between words and things. Bear Bear Think Tables represents six aspects of thinking by transferring the word ‘deliberate’ (Gom Gomi Saengakada in Korean) to ‘bears (Gom)’. The bears on the basketball coats fall down (panic), and confront each other (conflict). Interfered by another bear (daydream), the bears are surrounded by various kinds of animals (brainstorm), piled up like a pyramid (conclusion), and personified sweetly (narcissism). The piece expands the gap between the homonyms, ‘Gom’ and ‘Gom’ to be a playground of metaphors and narratives.

작가는 언어 유희를 토대로 말과 사물 사이의 간극에 대해 탐구하는 작가다. 그녀의 작업 은 ‘곰곰이 (생각하다)’라는 부사를 곰 두 마리로 치환하여 생각의 여섯가지 국면을 나타냈다. 농구 코트 위의 곰들은 엎어지거나(패닉), 대치하거나(갈등), 다른 곰이 끼어들거나(몽상), 갖가지 동물에 둘러싸이고(브레인스톰), 피라미드를 쌓고(결론), 달콤하게 의인화된다(나르시시즘). 이로써 ‘곰’과 ‘곰’이라는 동음이의어 사이의 작은 틈은 은유와 서사의 유희 공간으로 확장된다.

 

巧仔 Li Xiaoqiao (China)

Xiaoqiao Li is a printmaker whose work explores the experience of growing up during China’s reform and development in the late 1980s.  His series 1987 traces the memory of his family through portraits printed on worn and damaged crosscuts of wood.  The wood interrupts the images with rings and scars, adding dimension to the work and abstracting the artist’s narration. The work present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emory, and preservation.

리 시아오치아오는 80년대 후반 중국인들이 경험한 격동의 시대를 탐구하는 판화가이다. 시리즈는 조각나고 부서진 나무들의 절편들에 가족들을 묘사함으로써 작가 자신의 가족에 대한 기억을 추적해 나간다. 나무의 골과 생채기들은 이미지의 해체를 초래하여 작가의 서술을 희석시키는 동시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도 한다. 나아가, 작가는 작품을 통해 시간, 기억, 기억의 보존 사이의 관계들에 대해서도 고민한다.

 

문경의 Moon Kyung Eui (South Korea)

Moon Kyungui often uses interpersonal social hierarchies and prosaic imageries as materials that can be manipulated and transformed. Often occupying a marginalized position in society, Moon has taken an unorthodox approach to drawing on diverse models such as torso, cakes, dolls, and industrially produced objects, as well as using an inventive array of materials and processes. She gravitates toward both surreal image and abstract depiction as mediums that provide the greatest communicative potential. By rendering with a similar duality of intimacy and detachment, Moon sees her painting as the representation of real and imaginary relationships that are capable of forming bones in a spectrum of varied levels of reality.

작가의 페인팅에는 유화에 대한 오랜 선망과 정리되지 않은 각종 딜레마, 소비되는 인물 이미지가 드러난다. 모사를 통한 일종의 편집을 하는 듯한 그녀의 페인팅은 초현실과 추상적인 묘사가 뒤섞인 채 오묘한 조합을 이루고 있으며, 애초에 새로운 것을 창작해내서 무언가를 그린다는 개념을 넘어선 이미지를 가져오는 것 자체의 유희적행위에 가깝다

 

박민우 Park Minu (South Korea)

Park Minu is inspired by her own dreams that she subconsciously envisions the unknown areas of our reality. The manifested time-space realities of matter, mood, and spirit throw questions on the interpenetrating levels of reality. Each level of reality and each form of manifestation are grounded in a corresponding one, which progressively traverses mindal levels. We may alternatively see spatial evolution as the process by which spirit gains ascendancy over matter. The border between the reality and imagination starts to blur as we cast doubt on the certainty of virtual reality.

어딘가에 있을 절대적 존재에 대한 의문을 품고 자신을 현실과 이상의 중간에 위치했다는 가정으로 작업을 하는 작가는 일종의 중간세계라는 생각으로 꿈을 통해 다양한 영감을 얻는다. 현실에 대한 의구심을 통해 만들어진 오브제는 비현실적인 무언가 일 수도 있지만 그 다른 현실이라는 가정은 결국엔 현실일 것이라는 반추를 의미한다.

 

Rachel Marks (France)

With a formal background in music and dance, Rachel Marks uses movement, bodies and sound to inform her visual art practice.  American born, in 2013 Rachel moved to Grenoble, France, where she completed a Master in Fine Arts.  The series French Identity emerged from her experience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the exploration into a world of unfamiliar sounds and meanings. The work emphasizes the repetition of imprinting a new language, documenting the journey of taking on a new identity and the artist’s integration into the language.

레이첼 마크스는 음악과 춤에서 쌓은 자신만의 경험을 살려 몸의 움직임과 소리를 소재로하여 작품활동을 한다. 미국에서 태어난 작가는 프랑스 그르노블로 건너가 2013년에 MFA학위를 취득했다. 시리즈는 작가가 처음 불어를 배웠을 때 익숙하지 않은 소리와 의미들을 대면하면서 느꼈던 경험들을 바탕으로 탄생하였다. 언어를 습득할 때 필요로하는 반복적 과정을 강조하는 이 작품은, 새로운 자아를 찾아 떠나고 새로운 언어에 융화되어가는 작가 자신의 여정을 기록한 일종의 기록물인 셈이다.

 

Ramon Blanco Barrera (Spain)

233 is a multi-media artist whose work is strongly rooted in social and political activism.  His video work Traversing the Wall speaks about the legacy of Spanish colonialism in the ‘Wall of Shame’  a 270 mile long wall that divides the Sahrawi people of Western Sahara. Rooted in the failed process of decolonization, the mined wall traverses the Sahrawi territory from the north to the Atlantic Coast, forcing the separation of families and individuals. 233’s work is a quiet meditation on the evolution of colonial legacies and their continued influence on contemporary societies.

233은 당대 정치사회운동에 대한 작가 자신의 이념적 지향성에 대해 고찰하는 멀티미디어 작가이다. 그의 비디오는 스페인 식민지시절의 잔재로 남아 동족분립을 상징하는 을 주제로 한다. 탈식민지화의 실패로 대변되는 은, 사라위족의 북쪽 영토에서부터 대서양연안에까지 이르는 270마일의 방대한 거리를 지뢰들로 갈라놓고 사하라족의 단절을 강요하였다. 233의 작품은 우리에게 식민지시대의 파편이 어떻게 변화를 거듭하며 현사회에 영향을 미치는지 숙고하게 한다.
&nbsp

서찬석 Seo Chanseok (South Korea)

Seo Chanseok’s work is personal interpretations of all life forms meddling between society and public. Seo examines how people respond to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topics that continue to be central concerns in Korea today. His work touches on a number of potentially sensitive issues occurring with increasing frequency. People are now even familiar with the disturbance that such transformations create. By exposing the stories that people would rather hide from others, Seo intends to evoke uncomfortable responses from the audience.

작가는 사회와 인간의 관계에서 정치력이 공동체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한다. 그는 한국사회의 일원으로써 현 정부가 벌이는 사건에 관심을 가지고 직설적인 표현의 드로잉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야기를 해왔다. 개인의 이상이 막강한 존재에 대한 부정적 견해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결국 막강한 존재를 만들어낸 자들에 대한 회의적 관점에서 그의 작업은 어쩔 수 없는 것에 대한 현상을 그대로 토로한다.

 

VS force (South Korea)

VS Force’s work is the reflections of human’s visceral tendencies generating an act of trickery and deception. A noble-minded man of our society proves deceitful and self-serving whereas a righteous man inescapably becomes the unfortunate victim of a biased assault. Dishonesty and disintegrity are rampant in this society; the offences are often committed with a great deal of guile. VS Force casts a cold eye on our invisible desire to seize complete power. Radical use of colors and splintered narrative in his work convey the jarring confusion of justice and artifice. With his critical view on ‘cheating’, VS Force portrays twenty-first-century moral disorder on the verge of imploding.

스트릿 아트로 반사회적 언어를 통해 작업을 진행해온 작가는 최근 기록과 연출이라는 방식으로 인간 내면의 반사회적 존재를 드러내는 장치를 만들고 있다. 는 반칙이 원칙이 되었을 때의 인간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작업으로, 작가가 직접 무술수행을 시도하며 만들어지는 필드를 장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